[Python 문법] Python 기초 문법
파이썬 기본 문법 정리
제어문
While
while문은 조건에 해당 되는 경우에 내부 코드를 작동시키는 흐름 제어구문이다. 즉, 조건이 참인 경우에 내부 구문을 동작시키는 것이다. 조건이 거짓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num = 1
while num <= 100:
print(num)
num += 1
조건문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을 판단한 후 그 상황에 맞게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조건이 참인 경우를 수행하고, 아닌 경우에 다른 코드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건을 2개 이상 사용하기 위해서 elif 구문을 추가할 수 있다.
year = int(input("What year were you born?"))
if year <= 1924:
print("The Greatest Generation")
elif year <= 1945:
print("The Silent Generation")
elif year <= 1964:
print("baby boomer")
elif year <= 1980:
print("Generation X")
elif year <= 1996:
print("millennial")
else:
print("Generation Z")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서 비교 연산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and or not 과 같은 연산자도 사용할 수 있다.
money = 2000
card = True
if money >= 3000 or card: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print("걸어가라")
파이썬에서 특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문도 존재한다. in not in 을 사용하게 되면, 포함 관계에 대한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s = 'banana'
if 'a' in s and 'b' in s:
print('banana에는 a도 있고, b도 있어요!')
For 구문
for 구문은 반복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언어와 동일하게 구문을 작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Collection 타입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range를 통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family = ['mother', 'father', 'gentleman', 'sexy lady']
for x in family:
print(x)
a = [4, 5, 6, 7]
for i in a:
print(i)
for i in range(4,8):
print(i)
파이썬에는 특별한 반복문이 존재한다.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사용하여서 쉽게 List를 생성할 수 있다.
a = [1, 2, 3, 4]
result = [num * 3 for num in a]
결과 + for 구문을 통해서 손쉽게 기존 list에서 값을 변형할 수 있다.
함수
함수는 어떤 입력으로 결과값을 반환하는 구문을 함수라고 지칭한다. 예를 들어서 믹서기를 볼 수 있다. 믹서기에 과일을 넣고 동작시키게 되면, 주스가 나오게 된다. 이처럼 함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입력이 존재해야 하고, 출력이 있어야 한다. 출력이 없는 함수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런 함수는 똑같은 내용의 일을 반복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작성되는 구문을 하나의 함수로 분리하고, 호출을 통해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f print_list(a):
for i in a:
print(i)
print_list([1,2,3,4])
Lambda 예약어
lambda 는 함수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이다. def 와 동일한 동작을 한다. 보통 함수를 한 줄로 간결하게 만들 때 사용한다.
add = (lambda x, y: x + y)
print(add(10, 20))